LABEL Tokenomics

Token Model
LABEL은 BLB(UTILITY TOKEN) 토큰과 LBL(GOVERNANCE TOKEN) 토큰으로 토큰 경제를 구축한다. BLB 토큰은 발행에 제한이 없으며, LBL 토큰과 다른 소비 메커니즘을 가진다. LBL 토큰은 인 앱 결제, 마켓플레이스 결제, Listen-And-Earn, 스테이킹, 거버넌스, 소각 등에 사용 및 공급되는 거버넌스 토큰이다.
두 가지 LABEL 토큰은 거래소를 통한 구매 방법 외에도 LABEL 2.0 생태계 기여 및 다양한 활동을 통한 보상 또는 수익 창출의 형태로 얻을 수 있다. LABEL에 참여하기 위해서 플레이어는 토큰을 이용해 Headphone을 구매해야 한다. 토큰 홀더들은 이처럼 생태계 참여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벤트 참여와 생태계 보상을 얻을 기회를 얻게 된다. 이런 과정을 바탕으로 생태계와 플랫폼이 유연하게 확장되고, 다양한 음악 콘텐츠가 활발히 소비됨으로써 LABEL 토큰이 선순환되는 구조를 갖춘다.

Token Economy

LABEL은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의 Listen-And-Earn 메커니즘을 도입한 Web 3.0 음악 콘텐츠 플랫폼이다. LBL 토큰은 멀티체인 거버넌스 토큰이다.
LBL 토큰은 NFT를 거래하고, 음악을 스트리밍하고, 스테이킹하고, 주요 거버넌스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활용된다. 플레이어는 음악을 스트리밍하고, 수익을 통해 토큰 홀더가 될 수 있다. 스트리밍 과정에서 발생한 수익은 DAO Funds에 누적된다. 누적된 수익은 LABEL 생태계를 발전시키는데 활용된다. 플레이어는 음악 스트리밍을 통해 홀더가 되고, 토큰 홀더는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주요 거버넌스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위 그림으로 설명한 메커니즘에는 세 가지 주요 목표가 있다.
  • Listen-And-Earn: 플레이어가 음악을 스트리밍하고 보상을 얻도록 한다.
  • Staking: 토큰 홀더가 토큰을 보유하여 거버넌스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
  • Governance: LABEL의 소유권과 거버넌스를 탈중앙화한다.
LABEL은 커뮤니티가 생태계를 완전하게 소유하고 운영할 수 있는 탈중앙화 플랫폼을 목표로 한다. LABEL은 거버넌스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실행한다. 탈중앙화된 정책 결정 관행을 따르고 커뮤니티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준다. 탈중앙화 전환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BLB Token

공급, 적립, 지불 및 소각(Supply, Earning, Payment, and Burning)
BLB 토큰은 발행에 제한이 없으며, BLB 토큰을 적립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총 배터리 에너지
  • 사용 시간 및 사용 모드 헤드폰(유형, 속성, 등급 및 레벨)
  • 스티커(유형, 레벨 및 소켓 등급)
배지 BLB 토큰은 다음과 같은 활동 시에 부분 지불 및 소각된다.
  • 헤드폰 레벨업
  • 헤드폰 제작
  • 헤드폰 수리
  • 스티커 독 잠금 해제
  • 스티커 업그레이드
  • 행운 상자 오픈

$LBL Token

전체 LBL 토큰의 일정량은 Listen-And-Earn과 Governance에 참여하는 사용자에게 분배된다. LBL 토큰은 토큰 생태계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LBL 토큰 분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6.3. Token Distribution]를 참고하기 바란다.
$ LBL Use Cases
  • Payment
  • Listen-And-Earn
  • Staking
  • Governance
  • Burning

A. Payment

플레이어는 TRACKS에서 음악을 스트리밍 하기에 앞서 NFT Market에서 Listen-And-Earn을 즐기는 데 필요한 NFT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다. 더불어 TRACKS는 다양한 인 앱 활동에 대해 서로 다른 수수료를 부과하며, 플레이어는 이를 지불해야한다.
NFT 이동 및 거래
플레이어는 별도의 계약 없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여 앱에서 보관하고 있던 NFT를 전송하고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레이어는 앱에서 NFT 마켓으로 헤드폰, 스티커, 배지 등 NFT를 이동(Transfer) 한다. 이때 플레이어는 NFT 이동 수수료를 지불한다.
NFT 활용 및 소각
플레이어는 앱에서 헤드폰을 레벨업하거나 아이템을 업그레이드 하는 등 보유하고 있던 NFT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수수료를 지불한다. 또한, 플레이어는 헤드폰, 스피커, 배지 등 NFT를 소각(Burn)하고 토큰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수수료를 지불한다. 이와 같이 토큰 결제 및 수수료, NFT 구매 수익의 일정 부분이 DAO Funds에 축적된다. 향후 추가되는 결제 정책은 DAO(탈중앙화 조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B. Listen-And-Earn

Listen-And-Earn에 사용되는 토큰 경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3. TRACKS]를 참고하기 바란다.

C. Staking

LABEL은 LBL 토큰을 지속해서 보유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여 지속가능한 토큰 생태계를 구축한다. 스테이킹은 거버넌스에 참여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되며, LBL 토큰 스테이커는 더욱 특별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거나 보너스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스테이킹에 참여 된 LBL 토큰은 유동적이지 않으며, 양도하거나 판매할 수 없고, 일정 기간 언스테이킹 될 수 없다. 스테이킹된 토큰은 DAO와 관련된 거버넌스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LABEL은 스테이킹된 LBL 토큰 보유자가 생태계에 관하여 제안한 다양한 변경 사항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투표를 할 수 있도록 거버넌스 메커니즘을 도입한다. 스테이킹된 각 LBL 토큰은 표의 가치가 있으며, 토큰 보유자가 스테이킹한 LBL 토큰이 많을수록 투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에 이어진다.

D. DAO & DAO Funds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LBL 토큰의 주요 목적과 유틸리티는 거버넌스 참여에 있다. LABEL는 거버넌스 투표 시스템을 LABEL 플랫폼에 도입하여 스테이킹된 LBL 토큰을 보유한 스테이커가 LABEL 생태계에 대해 제안된 다양한 변경 사항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스테이킹된 각 LBL 토큰은 표의 가치가 있으며, 스테이커가 스테이킹한 LBL 토큰이 많을수록 투표 결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단계(초기 단계)

완전한 탈중앙화 메커니즘 구축에 필요한 첫 번째 단계로 거버넌스(DAO)의 초기 버전인 대시보드가 공개된다. 대시보드에서 사용자는 LABEL 생태계를 위한 정책 결정에 따른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스테이킹 기능은 사용자에게 VP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UI를 통해 활성화된다. 초기 단계에서는 비용 및 수수료 절감, DAO Funds 기능, 그 외 기타 작은 범주에 속하는 기능들 같은 주제에 관한 투표만 허용된다.

2단계(업그레이드 단계)

두 번째 단계에서 DAO의 UI/UX는 스테이킹 기능으로 업그레이드되어 기능 면에서 더욱 강화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더 세세한 정책 결정에 대한 온체인 투표가 진행된다. 이때 투표에 필요한 스테이킹 토큰 수가 조정될 수 있다.

3단계(마지막 단계)

LBL 토큰 보유자는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변경하고 투표할 새 아이템을 할당할 수 있다. VP가 활용되어 DAO를 통해 결정되는 제안은 아래와 같다.

거버넌스 투표 Agenda

일정수량 이상의 VP를 획득한 유저는 DAO에 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다. 이때 제안의 카테고리 범위는 아래와 같다.
  • DAO Funds 활용 관련 제안
  • 토큰 이코노미 관련 제안
  • 기타 프로젝트 관련 제안
  • 기타 수수료 관련 제안

VP (Voting Power)

VP는 DAO에서 행사할 수 있는 투표권을 의미하며, 참여자는 DAO에 제출된 제안에 대해서 소유한 VP만큼의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참여자의 VP는 투표가 제출된 블록 시점에 소유한 LBL 토큰에 의해 결정된다. 제출된 제안에 대해서 과반수의 동의가 확인되면 해당 제안 내용이 LABEL 생태계에 적용된다. 거버넌스 제안 제출 및 투표와 관련한 모든 거래는 블록체인에 게시된다.

DAO Funds

LABEL 토큰 생태계에서 토큰 결제 수수료, NFT 거래, 제작 수수료의 일정 부분이 DAO Funds에 축적된다. LABEL 플랫폼은 단계별로 탈중앙화할 예정이며, 탈중앙화가 충분히 이루어진 이후엔 LBL 토큰 스테이커가 DAO Funds를 관리한다. DAO Funds에 할당되어 축적되는 토큰은 다음과 같다.
  • Music-Fi 결제 수수료
  • NFT 생성, 거래 수수료
  • NFT 소모, 소각 수수료
플레이어는 LABEL에서 발표하는 새로운 음악 콘텐츠를 언제든 경험할 수 있다. 신규 음악 콘텐츠가 지속해서 나오고, 인기 콘텐츠가 누적됨에 따라 DAO Funds에 축적되는 토큰 수량도 꾸준히 증가하게 된다. 향후 DAO Funds에 할당되는 수수료는 LABEL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DAO가 활성화되면 LBL 토큰 보유자는 DAO Funds에 축적된 토큰 사용 방법에 대해 제안할 수 있다. 제안된 안은 LBL 토큰 스테이커의 투표를 거치게 되며, 이를 통해 안이 통과되면 그에 맞춰 토큰이 사용된다. 제안서 제출, 투표 절차, 분배될 자금에 대한 세부 사항은 DAO 출시 이후 상세히 발표할 예정이다.
다음은 DAO Funds 자금 사용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예시이다.

유동성 제공

토큰 보유자는 Uniswap 또는 PancakeSwap과 같은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서로 다른 토큰과 쌍을 이루고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DAO Funds의 일부 토큰을 사용하도록 투표할 수 있다.

생태계 확장

토큰 보유자는 DAO Funds의 일부 토큰을 사용하여 생태계 가치 제고를 위한 특정 서비스(예: 거래소 상장, 마케팅, 파트너십 및 판촉 서비스)에 지불할 수 있도록 투표할 수 있다.

개발 자금 조달

토큰 보유자는 LABEL 생태계 가치 제고를 위한 써드파티의 툴 또는 서비스의 개발에 일부 LBL 토큰을 지불할 수 있도록 투표할 수 있다(예: 마켓, 자동화 툴, 기타 블록체인 플랫폼과의 브릿지 연결).

콘텐츠 생성

토큰 보유자는 LABEL 생태계에 전반적인 가치 향상을 가져오기 위해 DAO Funds의 일부 자금을 사용하여 신규 콘텐츠 생성을 지원하기 위한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29 E. Burning LBL 토큰은 다음과 같은 활동에서 부분 소각된다.

E. Burning

LBL 토큰은 다음과 같은 활동에서 부분 소각된다.
  • 헤드폰 레벨업
플레이어는 보유하고 있는 헤드폰을 특정 레벨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LBL 토큰을 소각한다.
  • 헤드폰 제작
플레이어는 제작된 헤드폰 상자를 개봉할 때 더 높은 등급의 헤드폰을 받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LBL 토큰을 소각한다. 또한, 더 높은 확률로 두 개의 헤드폰 상자를 받을 수 있도록 LBL 토큰을 소각한다.
  • 헤드폰 속성 포인트 재분배
플레이어는 보유하고 있는 헤드폰의 네 가지 속성 포인트를 재분배하기 위해 LBL 토큰을 소각한다.
  • 스티커 업그레이드
플레이어는 보유하고 있는 스티커를 특정 레벨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LBL 토큰을 소각한다.

Token Distribution

총 발행되는 3,000,000,000 LBL 토큰은 아래와 같이 구성 된다.
  • Development 25%
  • Marketing / L2E 25%
  • Token Sale 20%
  • Ecosystem 15%
  • Reserve 7%
  • Team 5%
  • Advisors 3%
Last modified 2mo ago